[경기핫타임뉴스=김삼영 기자] 최근 김건희 특검팀이 양평 고속도로 특혜의혹 수사를 본격화한 가운데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8일 자신의 SNS를 통해 “경기도는 특검에 자료를 임의 제출해서라도 진상규명에 선제적으로 협조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김 지사는 서울~양평 고속도로 현장(청계리 54-7)을 전격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지사는 “윤석열 전 대통령은 과거 ‘선거는 패미리 비즈니스’라 했다”라며 “그것이 바로 이 사건의 본질이다. 김건희 일가의 탐욕을 위해 권력을 도구로 사익을 채우고 국민의 혈세와 국정을 농단한 중대한 범죄행위”라고 질타했다. 이어 “3년의 허송세월, 피해는 고스란히 양평군민과 경기도민에게 돌아갔다. 특검은 누가, 왜, 어떻게 이런 일을 저질렀는지 명명백백하게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경기도는 특검에 적극 협조하면서, 예타까지 통과한 원안을 조속히 재추진하기 위해 새 정부와 긴밀이 협의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며 “이제는 더 이상 늦출 수는 없다. 원안대로 신속히 추진하는 것만이 답이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경기도 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해 그동안 김 지사가 ▲사업 백지화 결정 직후 철회 촉구 ▲원안 이행 강력 요구
[경기핫타임뉴스=김삼영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국토부를 향해 “서울~양평 고속도로 자제감사는 맹탕감사”라는 입장을 밝혔다. 김 지사는 13일 입장문을 통해 “이번 감사 결과는 절차적 문제만 형식적으로 지적하고 말단의 실무자만 징계하는 ‘꼬리 자르기’로 일관했다”라며 강하게 질타했다. 이어 “경기도가 2008년 처음 제안한 이후 13년간 검토하고 예비타당성 조사까지 통과한 안이 노선의 55%가 바뀐 변경안이 나오기까지 단 6개월이 걸렸다”라고 지적하며 “기재부 협의 기준인 노선의 1/3 이상 변경을 추진하면서 기재부와는 물론, 경기도와의 협의도 일체 없었다”라는 불편한 심경을 내비쳤다. 또 “이례적이고 비정상적인 변경의 핵심에는 노선 종점부에 자리 잡은 김건희 일가의 땅이었으나 이번 감사는 특혜 의혹의 사실 여부와 이를 가능하게 한 위선과 몸통에 대해서는 전혀 밝혀내지 못했다”라고 직격했다. 하지만 편익 상정, 경제적 타당성 분석이 미비한 노선 변경을 추진했다는 감사 결과에 대해서는“그동안 원안보다 변경안이 더 낫다는 정부의 주장이 거짓임이 드러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김 지사는 국토부를 향해 경기도 차원의 고발을 검토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김 지사
[경기핫타임뉴스=김삼영 기자] “무엇이든 잘하려면 그 전에 ‘열심히’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많은 정치인에게 있어 ‘현장’과 ‘소통’은 당연한 정치적 신념일 것이다. 다만 중요한 것은 누가 더 많이 ‘현장’을 보고, 경청하며 ‘소통’하는 가다“ -이혜원 경기도의원(국민의힘, 양평2) 인터뷰 내용 中- 지방자치단체의 존재 이유는 “지방자치행정을 민주적이고 능률적으로 수행하고, 지방을 균형 있게 발전시키며, 대한민국을 민주적으로 발전시키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지방자치법 제1조)”는데 있다. 지방의회와 시·도의원의 존재 이유 또한 이와 결을 같이 한다. 최근 양평군의 최대 현안인 ‘서울~양평’고속도로 사업과 관련, 경기도지사를 향해 소신 발언을 마다하지 않고, ‘공공의료시설 유치’를 위한 방안 촉구, ‘분만 취약지 분만산부인과 지원사업 선정’ 등 동북부의 균형발전을 위시한 지역 현안에 대해 끊임없이 자신의 의지를 피력하며, ‘뚝심’ 있는 의정활동으로 결과를 이끌어내 지역민들의 많은 귀감을 사고 있는 도의원이 있다. 주민들에게 “또 어디가?”라는 이야기를 들을 만큼 서울의 1.4배인 양평군의 곳곳을 누비며 지역 현안을 지역민들에게 직접 듣고, 그 민원을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