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핫타임뉴스=김삼영 기자] 경기도가 최근 발생한 폭설 피해의 신속한 복구를 위해 지난달 29일 발표한 301억 5천만 원 외 기금, 예비비, 특별조정교부금 등 376억 원을 더해 총 677억 5천만 원 규모의 재정을 긴급 지원한다고 밝혔다.
도는 이미 예비비로 투입한 재해기금 약 300억 원 외에도 공공시설보다 더 큰 피해를 본 소상공인, 축산 농가, 농업인 등 민간 분야 피해 복구를 위해 재난관리기금 30억 원, 재해구호기금 300억 원, 예비비 30억 원, 특별조정교부금 16억 원 등 총 366억 원을 추가 지원키로 한 것이다.
김성중 행정1부지사는 6일 기자회견문을 통해 이 같은 사실을 밝히고 이는 지난 2일 안성과 평택 피해 현장을 찾은 김동연 도지사가 “통상적인 것을 뛰어넘는 절차와 방법으로 이른 시간 내에(피해를) 복구하도록 하겠다”라고 약속한 것에 대한 “구체적 실행 방안”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소상공인 피해 특별지원 ▲축산 농가와 농업인 시설 복구 지원 ▲공공분야 피해 복구를 위한 특별조정교부금 추가 지원 등 3개 긴급지원책에 관해 설명했다.
먼저 ‘소상공인 특별 지원’을 위해 도는 긴급 생활 안정비 300억 원을 편성해 지원한다. 기존 재난 피해를 본 소상공인의 경우 재난지원금 300만 원과 도 재해구호기금 200만 원을 지원하는 게 전부였다.
그러나 이번 지원책으로 재해구호기금 기존 200만 원에서 최대 700만 원까지 500만 원을 추가 지원할 방침으로 재난지원금 300만 원을 포함하며 최대 1천만 원까지 긴급생활안정비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도는 재정 병목 현상으로 지급이 지연되지 않고 최대한 빠르게 소상공인에게 지원되도록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심의 전이라도 피해 사실이 확인되면 선 집행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두 번째로 도는 재난관리기금 30억 원을 지원해 붕괴된 비닐하우스, 축산 시설 철거와 재난 폐기물 처리를 지원한다. 추가 붕괴 등 2차 피해를 예방하고, 축산 및 영농 활동 재개를 위한 신속 조치로 지난주 발표한 재난관리기금 73억 5천만 원에 추가된 자금이다.
축산 농가 지원을 위해 붕괴된 축사 철거, 고립된 가축 구조, 폐사된 가축 처리 등 현장에서 가장 필요한 조치에 투입되는 예비비를 기존 20억 원에서 30억 원을 증액해 총 50억 원으로 편성했으며, 이미 도는 재정 문제로 폐사 처리를 못 하는 축산 농가가 없도록 경기도 예비비 지원계획을 시·군에 통보해 폐사 가축에 대한 선 처리가 가능하도록 조치했다.
끝으로 대설 피해를 본 농수산물시장, 체육시설 등 공공시설 피해 복구를 위해 특별조정교부금 16억 원을 추가 지원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 경기도는 지난 2일 응급 복구와 제설장비, 제설재 지원을 위해 재난관리기금 73억 5천만 원을 시군에 지급을 완료한 바 있다.
이 밖에도 중앙정부에 신속한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요청하는 한편, 도민 당부의 말을 전했다.
김성중 행정1부지사는 “117년 만의 11월 폭설로 경기도에 수천억이 넘어가는 유례 없는 피해가 발생했다. 안타깝게도 경기 침체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이 심한 축산농가, 농업인, 소상공인 등이 가장 큰 피해를 입어 시름이 가중되고 있다”라며 “피해 지역 주민들이 재난지원금 추가 지원, 세제 감면 등 지원받을 수 있도록 중앙정부가 최종 피해금액 확전 전이라도 특별재난지역을 우선 선포해 주시기 바란다”라고 밝혔다.
이어 “도민 여러분의 신속한 재난극복을 위해 ‘경기도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수습복구 체계로 전환해 시·군과 함께 ‘경기도 통합지원센터’를 운영하며 모든 행정 역량을 집중하고 있으니,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말고 각자의 자리에서 노력해 주시기 바란다”라며 당부의 말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