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핫타임뉴스=김형철 기자] 고양특례시는 하천의 수질오염을 예방하고, 시민들에게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2025년도 개인하수처리시설 및 관련 영업자에 대한 체계적인 지도·점검 계획을 수립해 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고양특례시 내 개인하수처리시설은 총 23,741개소이며, 이 중 정화조는 13,435개소, 오수처리시설은 10,306개소가 존재한다.
개인하수 및 분뇨 관련 영업자는 총 32개 업체로, 분뇨 수집·운반업 12개소, 개인하수처리시설 설계·시공업 9개소, 관리업 11개소가 운영 중이다.
시는 하천의 수질오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자 오염 부하량이 많은 식당, 공장 등의 영업장을 우선적으로 관리할 예정이다. 각 시설의 하수발생량과 오염농도를 기준으로 지도·점검 횟수도 다르게 적용한다.
대형공사장과 음식점의 개인하수처리시설의 경우 이들 시설에서 발생하는 오염을 보다 철저히 관리하기 위해 점검을 강화한다.
이와 더불어 개인하수처리시설의 소유자 및 관리자가 적절하게 시설을 운영·관리할 수 있도록 시설 내부 청소 및 관리 방법에 대한 안내문을 주기적으로 배포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분뇨 수집·운반업, 개인하수처리시설 설계·시공업, 관리업 등 관련 영업자들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지도·점검을 실시해 법규 준수 여부를 확인하고 개선점을 제시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민원 유발 시설과 같은 환경오염 유발 가능성이 높은 지역에 대한 관리를 철저히 하고 불편을 제기하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더욱 반영될 수 있도록 민원처리 방식을 개선하고 고위험 지역에 대한 지도·점검 빈도를 늘려갈 것”이라고 밝혔다.